728x90
반응형

RealVNC Viewer를 실행한다. 그리고 File => New connection을 클릭 한다.

 

ip 주소를 넣고 이름을 임의로 넣어준다. 그리고 ok 클릭..

 

pi라는 아이콘을 더블클릭해서 접속한다.

 

접속 화면이 나오고 체크가 나올것이다. Contiue를 클릭 해준다.

 

ID와 Password 입력하라고 나오면 넣고 ok 클릭.

 

아래와 같이 연결되어서 바탕 화면이 나온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익스플로러 창에서 172.30.1.254를 넣고 로그인을 한후에 라즈베리 파이 IP를 확인한다. 난 유선으로 현재 연결 했다.

 

PuTTY를 실행하고 IP 주소를 넣고 엔턴.

 

아래 창이 뜨면 Accept 클릭

ID와 비번을 입력후 Login확인.

 

아래 보면 ip가 두개가 나오는데 위에 것은 유선으로 kt 공유기에 연결한 ip 주소이고 아래는 무선으로 샤오미 ax3000공유기에 무선 연결한 주소이다.

 

 

728x90
반응형

'프로그램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vnc 접속  (0) 2024.05.30
PuTTy로 라즈베리 파이 명령들.  (0) 2024.05.24
VNC Viewer 설치  (0) 2024.05.23
라즈베리파이 무선 연결하기. PuTTY 설치  (0) 2024.05.21
Raspberry Pi OS 설치  (0) 2024.05.20
728x90
반응형

ifconfig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ip 주소가 확인됨.

sudo netstat -lptu 를 입력하여 현재 네트워크 연결 포트 상태를 알수 있다.

 

sudo apt-get install x11vnc xinetd를 입력하고 vnc server 패키지를 설치하자. y를 눌러준다.

 

설치가 완료된 화면.

 

vncserver -geometry 1280x1024를 입력하여 원격으로 볼때 화면 해상도를 설정 할수 있다. => 확인 못함.

 

sudo raspi-config를 입력후 2 Display Option으로 들어간다.

D3 VNC Resolution으로 들어간다.

 

원격으로 화면 볼때 해상도를 설정 할수 있다.

sudo reboot 명령은 재시작 명령임.

 

 

 

728x90
반응형

'프로그램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vnc 접속  (0) 2024.05.30
KT 공유기 통한 라즈베리 파이 접속  (0) 2024.05.28
VNC Viewer 설치  (0) 2024.05.23
라즈베리파이 무선 연결하기. PuTTY 설치  (0) 2024.05.21
Raspberry Pi OS 설치  (0) 2024.05.20
728x90
반응형

구글에서 VNC Viewer를 검색후 다운 받는다.

 

아래 화면을 보면 cookies 동의가 뜰수 있다. ok 눌러주자.

마우스 스크롤을 조금 아래로 내리면 Download RealVNC Viewer 버튼이 나온다 클릭해서 다운 로드 해주자.

 

다운 받은 설치 파일을 실행하자.

설치 파일을 실행 하면 언어 선택이 나오는데 한글은 없다. 그냥 ok 눌러 주자.

Next 클릭.

체크 하고 Next 클릭

Next 클릭

Install 클릭

잠깐동안 설치후 완료 메시지가 뜬다. Finish를 클릭.

시작에 가면 설치 되었다고 아이콘이 새로 생겼다. 다음 사용이 편하게 시작 화면에 고정을 하자.

RealVNC Viewer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로그인 창도 열린다. 없다면 가입 해주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구글 검색창에서 putty 다운로드를 입력하자. 다운로드시 잡다한것이 설치 할것인지 물어보는 경우가 있는데 설치 하지 않도록 주의 하자.

 

다운로드가 완료 되면 다운로드 폴더에 가서 PuTTY_V0.80.msi를 더블 클릭 하여 실행 하자.

파일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린다. Next를 눌러 주자.

설치 경로를 물어보는데 기본으로 설치 하자.

 

뭐뭐 설치 할것인지 물어보는데 그냥 기본으로 설치 하자.

 

중간에 빠르게 설치가 되고 아래와 같이 완료 되었다고 창이 뜬다. View README file 체크를 없애고 Finish를 클릭하자. 

 

시작에 가면 최근에 추가한 앱에 아래와 같이 추가 되어 있다.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바로가기를 만들어 놓자.

 

 

 

 

 

 

 

 

 

 

 

 

728x90
반응형

'프로그램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vnc 접속  (0) 2024.05.30
KT 공유기 통한 라즈베리 파이 접속  (0) 2024.05.28
PuTTy로 라즈베리 파이 명령들.  (0) 2024.05.24
VNC Viewer 설치  (0) 2024.05.23
Raspberry Pi OS 설치  (0) 2024.05.20
728x90
반응형

Micro SD Card Memory 16G에  OS 설치 방법

Raspberry Pi OS – Raspberry Pi 이곳에 들어가서 다운로드를 클릭

다운로드된 imager_1.8.3.exe 를 실행 (오늘자 파일이름임)

이런 창이 열리면 추가 정보를 눌르면 실행 버튼이 생기면 눌러준다.

 

 

 

설치가 완료되면 Micro SD Memory Card를 PC에 연결한다.

방금 설치한 Raspberry Pi Imager를 실행한다.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열리는데 여기서 현재 가지고 있는 장치에 맞게 장치선택 운영체제 저장소 선택을 해준다.

저는 라즈베리파이 3를 가지고 있어서 3에 맞게 선택함. SDHC CARD는 SD CARD를 이야기 함.

 

다음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린다. 설정을 편집하기 눌러주자.

 

일반 창에 hostname과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 설정을 해주고 기억 하거나 적어 놓자. 공부 목적이면 hostname은 그냥 기본으로 사용하자.

무선 LAN설정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무선 인터넷 공유기 ID와 비번을 넣어주자. 모두 완료 되면 저장을 누르자.

다시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리면 예를 눌러주자.

 

또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리면 예를 눌러주자.

 

선택후 다음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쓰기를 시작한다. 시간이 좀 걸린다.........

 

쓰기 끝나면 확인 작업까지 함....

설치가 완료 된 화면임.

 

여기까지가 끝이다. 아래는 예전 방식 으로 해야 했던 부분임으로 확인할 필요 없으나 자료를 남겨둔다.

 

 

 

 

 

 

 

 

 

 

 

 

 

계속을 누르고 Micro SD Memory를 뺐다가 다시 넣어준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취소를 클릭 해준다.

 

윈도우 키 + E 키를 눌러 내 PC를 보면 bootfs라는 드라이버가 있다.

 

폴더에 들어가서 폴더 옵션 변경을 클릭한다.

보기 탭으로 이동해서 아래처럼 숨기기 체크를 해제한다. 확인을 누른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후 새로 만들기로 가서 텍스트 문서를 만든다.

새 텍스트 문서.txt를 마우스 왼쪽 버튼을 한번 눌러 선택 해준후 F2 키를 눌러 SSH라는 이름으로 변경하고 확장자를 없애준다.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리면 예를 눌러주면 된다.

또하나에 새 텍스트 문서를 만들어 준다.

 

새 텍스트 문서를 더블 클릭 하여실행 해주자. 비여있는 텍스트 파일에 다음과 같이 넣어주고 저장을 해주자.

 

county=US
ctrl_interface=DIR=/var/run/wpa_supplicant GROUP=netdev
update_config=1
network={
ssid="wifi 공유기 이름"
psk="wifi 공유기 비밀번호"
scan_ssid=1
}

새 텍스트 문서.txt 파일을 선택한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이름 wpa_supplicant.conf로 변경해 준다.

 

변경하면 다음과 같이 창이 뜨는데 예를 클릭 하자.

 

이제 sd card를 라즈베리파이에 넣고 전원을 넣어주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