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oltek사 MCU중 HT32F52357와 HT32F52367은 기능은 같은데 Flash와 SRAM 용량 차이가 있음. Holtek 사에 예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DMA를 사용해 보자.

사용자 메뉴얼에 PDMA라고 설명 되어 있는 부분이다.

대충 주변 장치에서 메모리로, 메모리에서 주변 장치로, 메모리에서 메모리로 데이터 전송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독립적으로 동작을 한다고 하며 6개에 단방향 채널을 가지고 있다고 함.

연결 할수 있는 주변 장치는 위와 같다.

위 표를 보고 전에 했던 프로젝트들이 생각이 났다. DAC는 없네..

다운 받은 예제 파일중에 PDMA 폴더에 SoftwareTriger 폴더를 들어갑니다.

_CreateProject.bat를 실행 합니다.

MDK_ARMv5 폴더에 들어가서 Project_52367 Keil 파일을 더블 클릭 하여 실행 합니다.

주석을 확인 해주세요.

Ctrl + F5를 눌러서 디버깅 모드로 갑니다.

화면을 조금 내려서 PDMACH_InitStructure.PDMACH_SrcAddr   = (u32)(&PdmaCh0SrcBuf[0]); 이부분에서 PdmaCh0SrcBuf에 마우스 왼쪽버튼을 두번 클릭한후 선택하고 바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위 사진처럼 Watch1에 넣어 주시기 바랍니다.

바로 밑에 PdmaCh0DstBuf도 동일한 방법으로 Watch1에 추가 해주세요.

눈으로 보기 편하기 위해서 Watch1 창 위를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 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별도로 움직일수 있습니다. 보기 편하게 이동후 PdmaCh0SrcBuf, PdmaCh0DstBuf 앞에 +버튼을 클릭하여 모두 보이게 합니다.

아직 실행을 안해서 PdmaCh0SrcBuf에는 0x01, 0x02, 0x03, 0x04, 0x05, 0x06, 0x07, 0x08이 들어있고

PdmaCh0DstBuf에는 모두 0X00인것을 확인 할수 있다.

빠른 확인을 위해 사진을 보면 PDMA_SwTrigCmd(PDMA_CH0, ENABLE); 부분에 마우스 클릭 한번한후 F9 키를 누르면

앞에 빨간색에 원형 마크가 하나 생긴다.  Break Point 라고 하는것을 설정 한것이다.

F5키를 눌러 실행하자.

빨간 원형 포인트 위에 화살표가 생겼다. 다음 실행할 문장이라는 표시이다.

Watch1 창을 보면 데이터는 변경 된것이 없이 그대로 이다.

F10 키를 누르면 한줄이 실행 되고 Watch1 창에 데이터가 변경 된것을 확인 할수 있다.

SoftwareTrigger.zip
4.84MB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