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에 가치창조기술에서 구매한 lan module이 지원이 안되어서 이번에는 위즈넷에 연락해서 위즈넷 제품을 구매 했다.

 

W7500S2E-R1 | WIZnet Document System

 

W7500S2E-R1 | WIZnet Document System

W7500S2E-R1 is low price Serial to Ethernet Module based on W7500 from WIZnet ? direct & 450 | WIZ550SR

docs.wiznet.io

사진상에는 고정 홀이 하나 있는데 도면에는 없어서 확인해서 연락을 하니 고정홀은 없어졌고 사진 업데이트가 안되었다고 한다.

실제 제품 사진이다.

계획은 커넥터로 삽입하고 고정홀로 고정하려고 했는데 제품을 납땜해서 장착 하는 방식으로 해야 할듯 하다.

위 홈페이지에서 화면 아래로 드래그 하여 Configuration Tool (.exe only) 파일을 다운받아 놓았다.

테스트를 위해 위 제품과 USB TO RS232 TTL MODULE을 구매 했다.

LAN Module과 USB to 232 Module간 선을 연결했다.

USB to 232에 3.3V를 LAN Module VCC로 연결 (이모듈은 3.3V 전원을 넣어줘야함.)

USB to 232에 gnd를 LAN Module GND로 연결

USB to 232에 TXD를 LAN Module RXD로 연결

USB to 232에 RXD를 LAN Module TXD로 연결

USB to 232를 PC USB에 연결한다

윈도우 시작 버튼에 마우스를 위치한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장치 관리자를 선택 한다.

위와 같이 포트가 잡혀 있으면 드라이브가 설치 되어 있음으로 COM6 이라는것만 알고 장치 관리자를 닫아도 된다.

만약 COM포트가 잡히지 않았으면 원인을 찾아 해결해야 한다.

 

이제 PC에서 통신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OM Port를 해당 포트에 맞춰서 설정하고 Baud Rate는 115200으로 설정하고 STEAL 옆에 Connect 글씨를 클릭한다.

 

LAN to 232모듈에서 RESET 글씨가 있는 핀과 GND 핀을 잠깐 연결 시켰다가 떼어 보자.

Serial 통신 프로그램 창에서 위와 같은 모듈 정보 메시지가 뜨는 것을 확인 할수 있다.

현재 이상태는 AT 모드 진입 상태 이다.

여기서 DHCP를 자동으로 변경해주고 TCP Client Mode로 변경한다.

.

다음은 키보드에 윈도우즈 키와 영문 R키를 눌러서 실행창이 뜨면 cmd라고 입력한후 확인을 누른다.

cmd 창에서 ipconfig를 입력하면 현재 PC에 IP주소가 나온다. (192.168.35.125를 이야기 함.)

 

이것을 알아두고 Serial 통신 프로그램에서 AT+C1_CLI_IP1=192.168.35.125\r\n 을 넣어준다.

 

이렇게 정보가 뜨면 포트를 셋팅 해준다. AT+C1_CLI_PP1=5000\r\n을 입력하여 포트는 5000으로 설정했다.

여기까지 모두 끝나면 저장 및 AT모드를 나간다.

PC가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공유기에 LAN to 232 모듈을 연결한다.

 

Cable 연결전에는 DHCP Fail 에러 문구가 뜨다가 Cable 연결후에 잠시 있으면 IP주소등 연결 정보가 나온다.

PC에서 TCP통신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서 TCP Option 창에 IP주소와 Port 번호 입력후 Connect를 클릭 한다. (모듈이 Client로 설정 해서 Server로 실행 해야함.)

LAN 통신 프로그램에서는 위와 같이 연결 되었다고 나온다.

시리얼 창에서도 연결 되었다는 문구가 나온다.

LAN 프로그램에서 TEST/ABCDEFG를 보냈다.

232 통신 프로그램에서 수신되는것을 확인 할수 있다.

반대로 232통신 프로그램에서 데이타를 보냈다.

LAN 통신 프로그램에서 수신 되는것을 확인 할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